2. 스카이림의 모드 기반 닦아놓기 (SKSE, 비공식패치, 한글화)
우선 작성하기에 앞서 제가 올리는 스카이림 글들은 SKYRIM : LEGENDARY EDITION을 기반으로 작성함을 공지하고 진행하겠습니다. 즉, 모든 DLC (Dawnguard, Hearthfire, Dragonborn)가 설치되어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앞에서 스카이림을 설치한 후에 기본적 모드관리 프로그램인 Mod Organizer를 설치해보았습니다. 이번엔 게임을 진행하고 모드를 설치하는데에 있어 그 기반이 되는 부분인 SKSE, Unofficial patch, 한글화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1. SKSE
SKSE는 Skyrim Script Extender의 약자입니다. 한글로 쓰자면 '스카이림 스크립트 확장'정도로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스카이림 대부분의 모드 혹은 게임진행은 Script를 기반으로 이루어 집니다. 만약 이 Script에 제한이 많다면 게임상에서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데에 상당한 제약이 있겠죠. 그래서 이를 확장시켜주는 것이 SKSE입니다. 지금은 거의 필수로 자리잡았죠. 설치는 매우 간단합니다. 따라와보세요.
일단 다운받아 봅시다. 다음의 링크로 들어가주세요.
SKSE : http://skse.silverlock.org/
메인화면은 위와 같습니다. 매우 단순하죠. 표시된 부분인 '7z archive'를 클릭해서 다운로드 해줍시다.
그리고 압축을 풀어 나온 파일들을 모두 복사해서 스카이림이 설치된 폴더에 붙혀넣기 해주시면 끝입니다.
폴더는 스팀기준 C:\Program Files (x86)\Steam\steamapps\common\Skyrim 이런식이겠죠?
추가적으로 메모리패치도 해줘야합니다. 스카이림은 32비트 기반으로 출시된 게임이라 메모리를 읽어오는데에 한계가 있죠. 그래서 컴퓨터의 리소스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 합니다. (물론 최근 컴이야기.. 전 5년된 놋북이용자라 관련없음 ㅠ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직접 설정값을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스카이림이 설치되어 있는 폴더로 들어가 줍시다. 그 안에 Data폴더에 들어가셔서 Skse라는 폴더를 만들어주세요. 아마 다들 없을꺼에요. 또 그 폴더 안에 '새로만들기'로 메모장을 만드신 후에 아래의 값을 입력하시고 저장해줍시다.
[General]
ClearInvalidRegistrations=1
[Memory]
DefaultHeapInitialAllocMB=768
ScrapHeapSizeMB=256
파일이름은 skse로 해주시고, 메모장이므로 확장자가 txt로 되어있을텐데 이를 ini로 변경해주시면 끝이납니다. 혹시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 파일을 올려놓을게요.
![](https://i1.daumcdn.net/cfs.tistory/v/0/blog/image/extension/unknown.gif)
이걸 위에 언급한 폴더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제 기준으로 C:\Program Files (x86)\Steam\steamapps\common\Skyrim\Data\skse 여기가 되죠.
지금 메모리패치에서 어려움을 겪으시는 분들이 많은 듯 합니다. 우선 위의 경로로 해서 안됐을 시에는 아래의 경로로 지정해보세요.
ModOrganizer\overwrite\skse에 위의 파일을 넣고 진행해보시구요.
로그상 확인이 안될 수도 있다는 글이 있더라구요.
아래의 모드를 통해서 메모리패치가 잘 적용됐는지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 Memory Blocks Log : http://www.nexusmods.com/skyrim/mods/50471
설치 자체는 끝이 났습니다만 우리는 MO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합니다. 따라서 MO와 연동을 시켜줘야 하죠. 이 역시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우선 MO를 실행시켜주시고...
상단에서 톱니바퀴 모양 버튼을 눌러줍시다. 이는 실행에 관련된 설정을 하는 부분입니다.
요렇게 창이 뜨죠. 여기서 우리가 설정해야할 부분은 '이름', '실행 파일' 입니다. 이름은 편하신대로 작성해주시면 되지만 실행파일은 정확하게 해줘야죠.
스카이림이 설치된 폴더에 복사한 SKSE파일 중에서 실행파일인 'skse_loader.exe'를 선택해줍시다. 제대로 하셨는 지 마지막으로 살펴봐주시고 추가버튼을 누른 뒤 닫기를 눌러 창을 닫아주시면 되겠습니다.
이젠 위의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셔서 설정해놓은 SKSE를 눌러주시면 SKSE와 MO의 연동은 끝났습니다. 오른쪽의 실행버튼을 누르시면 스카이림을 바로 즐기실 수 있습니다. 우린 SKSE를 설치했으므로 앞으로의 게임실행은 항상 SKSE로만 할 것입니다.
중요한 것 하나 빼놓고 갈 뻔 했네요. 아까 우린 ini파일을 넣어줌으로써 메모리패치를 했었습니다. 이 것이 잘 적용이 되었는지도 확인해줘야합니다. 안됐으면 헛고생이니까요. 게임을 켰다가 꺼주시고, 내 문서 > My games > Skyrim > skse폴더에 들어가주시면 skse_steam_loader.log라는 파일이 있습니다. 열어주세요.
그럼 이렇게 나옵니다. 제가 노랗게 표시해둔 것처럼 나온다면 메모리패치는 완료가 된거에요. 이제 안심하고 모드설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Unofficial Patch
다음으로는 비공식패치를 해줄 차례입니다. 스카이림은 자유도가 높은 만큼 버그가 빈번한 게임입니다. 베데스다 사에서도 열심히 패치를 내놓았으나 이젠 출시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났기때문에 공식적인 패치는 끝이 난 상태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여전히 많았고 이를 유저들이 비공식적으로 fix해서 패치를 내놓은 것입니다. 원래 오리지날과 DLC따로 해서 4개의 비공식 패치가 존재했으나 현재 'Unofficial Legendary patch'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어 나오고 있습니다. 당연히 DLC를 하나도 빼놓지 않고 설치하신 분들만 이 비공식패치를 설치하셔야 해요.
설치를 진행합시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Unofficial Skyrim Legendary Edition Patch : http://www.nexusmods.com/skyrim/mods/71214/
그리고 FILES에 들어가셔서 'download manually'를 클릭해서 수동으로 다운로드 해줍니다. 왼쪽은 NMM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연동하셔서 다운로드하는 버튼입니다. 물론 MO에서도 넥서스계정과 연동하여 이용하실 수 있지만 나중에 모드를 개인적으로 수정하여 사용할 일이 생기기 때문에 수동으로 다운받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앞으로 우리는 계속 이런 식으로 모드를 내려받을 꺼에요.
받았으니 이젠 설치해야죠. MO에서 위에 표시된 버튼을 눌러줍시다. 저 버튼이 모드를 새로 설치하는 버튼이에요.
모드를 골라달라네요. 대부분 넥서스를 통해 내려받은 모드파일은 7z이나 rar형식으로 된 압축파일입니다. 만약 모드를 개인적으로 수정(모드한글화 같은 부분)하는 것이 아닌 이상, 이 압축파일을 그대로 이용하면 됩니다. 아까 받아놓은 비공식패치파일을 선택해줍니다.
그럼 이렇게 모드이름을 작성하게 됩니다. MO 메인화면 목록에 나오는 이름이기 때문에 헷갈리지 않도록 잘 적어줍시다. 개인적으로 모드의 버전을 기입해놓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나중에 모드의 업데이트가 나왔을 때 혼동할 일이 없어지기 때문이죠. 몇몇 모드(대형모드, 캐릭터외형모드 등)들은 이름을 적은 뒤에 여러가지 모드 관련 설정을 하는 과정이 나옵니다. 그러나 그 창 안에서 설명이 나오고 직관적으로 알아보기 쉽기 때문에 여기서는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뒤에 언급할 일이 분명히 있을꺼에요.
이런 식으로 진행이 됩니다. 완료되고 나면
이렇게 목록에 나옵니다. 왼쪽 체크박스에 체크를 하게되면 그 모드는 이제 작동하는 것이죠. 비공식패치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었습니다. 이젠 어찌보면 가장 중요한 한글패치를 설치해보죠.
3. 한글패치
한글패치를 하기에 앞서, 스카이림을 시작하시는 분들은 엘더스크롤 네이버 카페(http://cafe.naver.com/elderscrolls7)에 가입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자료도 많고 모르는 것을 물어보기도 편하고 한.글.패.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카페에 가입이 안되어 있는 분들을 위해서 넥서스에도 한글패치가 올라와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타고 가셔서 앞에서 했던것처럼 내려받아주세요.
Skyrim 한글화 : http://www.nexusmods.com/skyrim/mods/41822/
Dawnguard 한글화 : http://www.nexusmods.com/skyrim/mods/23713/
Hearthfire 한글화 : http://www.nexusmods.com/skyrim/mods/25256/
Dragonborn 한글화 : http://www.nexusmods.com/skyrim/mods/40932/
그리고는 똑같습니다. 한글패치를 설치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설치방법을 잘 모르시겠는 분들은 위에 비공식패치과정을 다시 봐주세요.
한글패치가 4개이므로 설치도 4번, 결과로 목록도 4개가 추가되겠죠. 아닌 분들은 잘 못하신거에요! 확인해보세요. 그럼 이제 모두 설치가 끝났느냐? 아닙니다. 매우매우 중요한 과정이 남아있습니다. 언젠가 Mod Organizer와 스카이림의 모드 적용방식에 대해서 글을 쓰긴 할텐데요. 그에 앞서서 간단히 언급해보자면 모드들은 매우 독립적이고 Script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지만 어떠한 모드들은 선행모드가 있어야하고 Script도 매우 복잡하기도 하고, 다른 모드와 중복되는 부분이 있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모드가 게임에 적용되는 '순서'가 매우 중요하죠. 여기서 모드의 순서는 MO목록의 순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위 그림에도 목록 오른쪽에 우선순위로 나열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 순서로 게임에 탑재가 되는 것이죠. 그러므로 목록의 맨 위에 있는 모드가 가장 먼저 게임에 탑재됩니다. 그리고 맨 밑에 있는 모드가 가장 나중에 탑재됩니다. 즉, 만약 모드끼리 중복되는 부분이 있으면 목록의 아래에 존재하는 모드가 목록의 윗 부분에 존재하는 모드를 덮어 쓴다는 겁니다.
이 모드배열을 잘못하면 스카이림이 실행되질 않거나, 매우 자주 혹은 특정 진행장소에서 게임이 꺼지는 CTD현상이 발생하게 되죠. 제가 지금 말하는 부분이 잘 이해가시지 않으실 꺼에요. 일단은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시고 뒤의 과정을 따라해주시면 됩니다.
모드의 순서는 단순히 Drag & Drop으로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을 참고하셔서 배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왼쪽은 모드, 오른쪽은 esp, esm과 같은 플러그인 파일의 순서입니다.
모드배열순서부터 설명하면
- Skyrim 오리지널 파일(없으면 실행이 안되는 메인파일이므로 목록에 없습니다.)
- Skyrim 오리지널 한글패치
- Dawnguard 메인파일
- Dawnguard 한글패치
- Hearthfire 메인파일
- Hearthfire 한글패치
- Dragonborn 메인파일
- Dragonborn 한글패치
- Unofficial Legendary Patch
이 순서로 배열하시면 됩니다.
플러그인배열도 마찬가지입니다.
- Skyrim.esm (메인파일)
- Update.esm (누적업데이트파일)
- [ES7]Skyrim-Kor.esp (오리지널 한글패치)
- Dawnguard.esm (Dawnguard 메인파일)
- [ES7]Dawnguard-Kor.esp (Dawnguard 한글패치)
- Hearthfire.esm (Hearthfire 메인파일)
- [ES7]Hearthfire-Kor.esp (Hearthfire 한글패치)
- Dragonborn.esm (Dragonborn 메인파일)
- [ES7]Dragonborn-Kor.esp (Dragonborn 한글패치)
- Unofficial Skyrim Legendary Edition Patch.esp (Unofficial Legendary Patch)
이 순서로 하시면 되죠. 그리고 마지막 과정!
위의 배열은 앞으로 어떤 모드를 설치하던지 변함없고 항상 최우선순위에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플러그인 배열을 고정해주는 작업을 한 번 해줍시다.
플러그인 배열에서 위의 모드들을 모두 선택하신 다음 오른클릭을 하시고 '플러그인 배열 순서 고정'을 클릭해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플래그 부분에 자물쇠표시가 생깁니다. 고정이된거죠.
4. Unofficial Patch 한글화
Unofficial Patch의 한글화는 개인적으로 진행되어 Elderscroll7 카페(위에 언급한 네이버 카페)에 올라와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이 곳에 링크를 달기는 어렵습니다. 카페에서 받아주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모드에서 언어와 관련된(Script 등) 부분은 esp파일에 저장됩니다. 그래서 개인이 해주신 모드 한글화 파일들을 보면 대부분 esp파일 하나만 업로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esp파일을 원래 모드의 esp파일과 대체하면 한글화가 완료되는 것이죠.
Unofficial Patch의 한글화 esp를 받으셨다면 설치하러 가 봅시다. MO를 통해서 Unofficial Patch를 설치했기 때문에 Unofficial Patch는 스카이림의 Data폴더(원래 모드를 설치할 때 저장하는 폴더)가 아닌 Mod Organizer가 설치된 곳의 Mods 폴더에 저장이 됩니다. 그래서 이 곳에 있는 esp 파일을 대체해줘야 합니다. 시작해봅시다.
한글화를 받으면 앞에 설명드린대로 esp파일 하나만 달랑 존재합니다.
이를 Mod Organizer가 설치된 곳의 Mods 폴더 안에서 Unofficial Patch폴더를 찾아 덮어써주시면 됩니다. 혹시 불안하시면 백업을 해두셔도 좋겠죠. 이해를 돕기위하여 제 기준으로 폴더의 주소는
C:\Program Files (x86)\Mod Organizer\mods\Unofficial Skyrim Legendary Edition Patch 입니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한글화를 진행하실 때 매우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원본 esp의 버전과 한글화 esp의 버전이 같아야 한다는 것이죠. 기존의 esp를 한글화된 esp가 대체하는 것이기 때문에 버전이 같지 않다면 CTD가 발생하거나 제대로 모드가 동작하지 않을꺼에요. 그러므로 한글화를 적용하실 땐 여러번 확인해주세요!
모든 준비가 끝났습니다. 이젠 모드에 체크를 하여 적용을 하시고(모드와 플러그인 양쪽 다 해주셔야 해요.) SKSE로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 하신 뒤에 실행버튼을 눌러 스카이림을 즐겨주시면 됩니다.
게임을 하시는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혹시 여기까지 따라오시는 중에 어려움이 생기시면 주저하지 마시고 댓글에 문제점을 써주세요. 그러면 제가 도와드릴 수 있는 선에서 최대한 힘써보겠습니다. 다들 퐈이팅!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LOOT와 TES5EDIT을 이용한 모드 배열 및 클리닝
LOOT와 TES5EDIT을 이용한 모드 배열 및 클리닝
2016.09.04 -
자세히 쓴 모드설치 과정 (Feat. Mod Organizer)
자세히 쓴 모드설치 과정 (Feat. Mod Organizer)
2016.08.30 -
3. Fores New Idles in Skyrim (FNIS) 설치 및 실행하기
3. Fores New Idles in Skyrim (FNIS) 설치 및 실행하기
2016.08.28 -
1. 스카이림의 시작 Mod Organizer 설치하기
1. 스카이림의 시작 Mod Organizer 설치하기
2016.08.25